KOTRA 서비스 가이드북

2022 KOTRA Service Guide Book KOTRA 서비스 가이드북

KOTRA 서비스 가이드북 2022 KOTRA Service Guide Book

KOTRA 디지털 플랫폼및 대외서비스

005 004 KOTRA Service Guide Book 각부처·기관에산재된해외진출정보를 단계별로통합하여제공하는범정부플랫폼! 정부·민간이 보유하고 있는 해외진출 관련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해외경제정보드림 / dream.kotra.or.kr AI기반무역투자데이터분석을통해유망시장과 잠재파트너를즉시추천하는플랫폼! 1.3억건의 수출통계, 600만 해외기업DB를 바탕으로 빅데이터 AI가 품목별 유망시장과 해외 잠재파트너 리스트를 추천해드리며, 무역투자통계, 국가별 시장정보 등을 시각화된 자료로 제공합니다. 트라이빅 / www.kotra.or.kr/bigdata 쉽고빠르게찾아보고, 물어보고, 신청할수있는맞춤형원스톱서비스! 고객이 한곳에서 쉽게 필요한 정보를 찾고 서비스도 받을 수 있도록, 단절 없는 통합·연계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KOTRA 무역투자24 / www.kotra.or.kr 전세계바이어와한국수출업체를연결해주는 글로벌 B2B 수출지원플랫폼! 한국 상품 해외홍보, 해외 바이어의 구매정보 검색 및 등록, 거래대금 온라인 결제, 국제배송(EMS, DHL)과 같은 고객의 수출거래 전 단계를 지원합니다. 바이코리아 / www.buykorea.or.kr

007 006 KOTRA Service Guide Book 인베스트코리아 www.investkorea.org 외국인 투자가를 대상으로 한국의 투자환경, 유망 산업, 투자절차, 입지 정보 및 각종 통계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 수출지원기반활용사업 www.exportvoucher.com 수출지원기반활용사업 고객 대상으로 사업 전 단계별(신청-구매-정산-관리)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올인원 플랫폼입니다. 글로벌전시포털 www.gep.or.kr 해외에서 개최되는 산업별 글로벌 전시회 정보를 제공하고, KOTRA 단체참가 및 개별참가 해외전시회 사업 신청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북방경제협력포털 president.globalwindow.org/bukbang 한-러 기업협의회, 신북방정책 관련 정보 등 북방경제협력 관련 비즈니스 정보를 한눈에 모아볼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방산물자교역지원 kodits.kotra.or.kr 볼트·너트에서 전차, 항공기와 같은 체계무기까지 방산·보안분야별 유력 바이어와의 비즈니스 파트너링 기회를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 외국인투자옴부즈만 ombudsman.kotra.or.kr 한국에 있는 외국인 투자기업을 대상으로 고충을 접수·처리하고 규제 관련 법령 등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 해외전문인력유치 contactkorea.kotra.or.kr 국내기업과 기관에서 필요로 하는 글로벌 인재 발굴, 인터뷰 주선, 이력확인, 비자추천 등의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플랫폼입니다. 경제외교활용포털 president.globalwindow.org 대통령의 정상외교를 통해 도출된 경제·산업 부문 성과를 한눈에 확인하고, 관련 정보를 통해 비즈니스 기회를 찾을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KOTRA 서비스 가이드북

011 010 KOTRA Service Guide Book 5. 수출바우처 산업별선도기업바우처 036 중견기업글로벌화바우처 038 물류전용수출바우처 040 6. 디지털해외마케팅 바이코리아플랫폼활용 041 트라이빅(빅데이터활용) 042 화상상담 042 K 스튜디오활용 044 (디지털콘텐츠지원) 해외온라인플랫폼입점및판촉 044 해외유통망협업사업 045 7. 글로벌역량강화 글로벌역량진단(GCL) 046 내수기업수출기업화 047 수출형소상공인육성사업 048 스타트업해외진출지원 049 중견기업글로벌지원사업 050 세계일류상품육성사업 051 글로벌역량강화교육연수 053 8. 수출기업애로해소 수출컨설팅상담(온/오프라인) 054 지식재산권보호 056 9. 해외시장정보조사 해외시장조사 058 2023 세계시장진출전략설명회 060 국별권역별진출전략보고서발간 060 해외경제정보드림(해드림) 061 KOTRA 해외시장뉴스 062 무역자료실운영 063 contents 1. 수출상담및포럼 국내·외수출상담회 014 비즈니스포럼 018 해외비즈니스출장지원 020 2. 무역사절단 021 3. 전시회 국내·외전시회 022 한류활용해외마케팅지원 024 한국우수상품전 024 세계엑스포개최 025 4. 기간제맞춤형지원 지사화사업 026 해외공동물류지원 030 산업별맞춤형지원 031 1. 수출지원

013 012 KOTRA Service Guide Book contents 2. 해외진출 지원 10. 프로젝트및공공조달진출지원 프로젝트발굴및수주지원 066 공공조달시장진출 068 11. 방산, G2G 진출 방산물자교역지원 070 일반물자정부간(G2G) 교역지원 071 12. 해외투자진출지원 한국투자기업지원센터 072 글로벌 M&A 지원사업 073 유턴지원 074 13. 해외무역관인프라활용 075 4. 외국인 투자유치 17. 투자유치지원 2022년외국인투자주간(IKW 2022) 094 투자유치상담회 094 투자유치사절단 095 IKMP 095 IKP 입주기업지원 096 레드카펫서비스 096 외국인투자기업채용지원 097 18. 외국인투자유치홍보 099 19. 외투기업상담및고충처리 외국인투자컨설팅및행정서비스 100 외국인투자기업고충처리 101 3. 경제협력 및 일자리 지원 14. 경제외교 비즈니스파트너십 082 경제외교후속사업및사후관리지원 082 경제외교활용포털 083 신남방신북방비즈니스데스크 084 15. 개발협력 글로벌 ESG+ 사업 085 KSP :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 087 16. 일자리지원 해외취업지원 088 해외전문인력유치 089

015 014 KOTRA Service Guide Book PART 1. 1. 수출상담 및 포럼 1-1. 국내·외 수출상담회 014 1-2. 비즈니스 포럼 018 1-3. 해외 비즈니스 출장지원 020 2. 무역사절단 021 3. 전시회 3-1. 국내·외 전시회 022 3-2. 한류 활용 해외마케팅 지원 024 3-3. 한국우수상품전 024 3-4. 세계엑스포 개최 025 4. 기간제 맞춤형 지원 4-1. 지사화사업 026 4-2. 해외 공동물류 지원 030 4-3. 산업별 맞춤형 지원 031 5. 수출바우처 5-1. 산업별 선도기업 바우처 036 5-2. 중견기업 글로벌화 바우처 038 5-3. 물류전용 수출바우처 040 6. 디지털 해외마케팅 6-1. 바이코리아 플랫폼 활용 041 6-2. 트라이빅(빅데이터 활용) 042 6-3. 화상상담 042 6-4. K 스튜디오(디지털콘텐츠지원) 활용 044 6-5. 해외 온라인 플랫폼 입점 및 판촉 044 6-6. 해외유통망 협업사업 045 수출지원

017 Part.1 수출지원 016 KOTRA Service Guide Book 1. 수출상담 및 포럼 1-1 국내·외수출상담회 한국 상품 수입을 희망하는 구매단 또는 개별바이어를 유치하여 국내 업체와의 1:1 수출 상담 기회를 제 공해 드립니다. 복잡한 시장조사와 바이어 발굴에 들어가는 노력과 비용을 절감하고 해외출장을 가지 않 고도 전 세계 바이어와 상담하실 수 있습니다. 선정기준 · 방한 바이어의 희망 수입품목과 일치여부 대상기업 · 국내 사업자 등록증을 소지한 중소·중견기업 참가비 · 무료 * 사업비는 주최기관(KOTRA, 지자체, 유관기관 등)이 지원 지원내용 · 방한 바이어와 1:1 수출상담회 개최 · 수출상담 사후 A/S지원 * 행사 내용 및 상황에 따라 온라인 상담으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세부 내용은 KOTRA 대표 홈페이지 내 사업 공고문(www.kotra.or.kr) 참조 진행절차 · KOTRA(또는 지자체/유관기관) 홈페이지에서 연간계획 확인 · 주최기관에 사업신청 · KOTRA 해외무역관을 통해 해당품목 바이어 방한 유치 · 주최기관을 통해 방한 확정 바이어와 1:1 상담주선 추진 · 주최기관 및 KOTRA 해외무역관을 통해 수출상담 후속 지원 * 2022년도 수출상담회 일정은 KOTRA 대표 홈페이지(www.kotra.or.kr)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대한민국 소비재 수출대전 대한민국 소비재 수출대전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품전시를 통한 바이어 상 담은 물론, 해외시장 진출전략 및 온·오프라인 유통망 입점 설명회, 디지털 마케팅 (SNS, 상품리뷰) 등이 포함된 융복합 마케팅 행사입니다. 시행시기 · 2022년 상반기(예정) 지원내용 · 해외 바이어 - 국내기업 간 1:1 수출상담, 상품전시, 수출 교육 및 컨설팅 등 참가비 · 무료 * 일부 세부사업의 경우 유료 추진 가능 이용방법 · KOTRA 대표 홈페이지(www.kotra.or.kr) 참고. 문의처 · 서비스소비재실 / 02-3460-7748 / ge_cgsk@kotra.or.kr K-의료기기 수출전 국내 최대 의료기기 전시회인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전시회(KIMES)’와 연계하 여 국내 유망 의료기기 기업 대상 온·오프라인 수출상담회, 의료기기 해외 진출전 략 관련 컨퍼런스 개최 등을 지원합니다. 시행시기 · 2022년 3월 10일(목) ~ 11일(금) 지원내용 · 국내기업 - 바이어 간의 1:1 맞춤형 온·오프라인 수출상담회 · 의료기기 해외진출 관련 컨퍼런스 참가비 · 무료 이용방법 · KOTRA 대표 홈페이지(www.kotra.or.kr) 참고 · KIMES 전시회 홈페이지(kimes.kr) 참고 문의처 · 바이오의료팀 / 02-3460-7628 / sinspired@kotra.or.kr 서비스 수출대전 국내 최대 규모의 서비스 전문 수출상담회로, 해외 유력 바이어 발굴, 네트워킹 등을 통해 서비스 기업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대상기업 · 5대 유망 서비스분야(콘텐츠, 교육, 프랜차이즈, 융복합서비스) 중소·중견기업 시행시기 · 2022년 상반기 * 2021년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온라인 행사로 진행하였음 지원내용 · 유력 해외 바이어와 1:1 비즈니스 상담주선 · 수출상담시 통역서비스 · 서비스산업의 국내외 동향 및 유망 시장 진출전략 컨퍼런스 참가 기회 제공 등 신청방법 · KOTRA 대표 홈페이지(www.kotra.or.kr) 참고 문의처 · 서비스소비재실 / 02-3460-7617 / k-content@kotra.or.kr

019 018 KOTRA Service Guide Book Part.1 수출지원 프랜차이즈 해외진출 지원사업 프랜차이즈 기업의 해외 시장 정보 제공을 위해 글로벌 프랜차이즈 세미나 개최, 자료집 발간을 하고 있으며, 또한 해외진출 파트너 확보를 위하여 해외전시회, 초 청상담회, 사절단 파견 등 해외시장 선점 및 글로벌화를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 공하고 있습니다. 대상기업 · 국내 프랜차이즈 기업 및 해외진출을 희망하는 서비스 기업 산업군 · 프랜차이즈 (외식, 뷰티서비스, 이미용서비스, 생활편의서비스, 체험서비스 등) 지원내용 · 사절단 파견 (해외바이어 상담 주선 및 현지 중심상권 탐방 지원) · 해외전시회 참가 (부스비 및 장치비 50%, 전시품 운송비 편도 100%, 출영송 교통지원 등) · 해외바이어 초청상담회 (진출 희망지역 해외바이어 상담 주선) · 글로벌 프랜차이즈 세미나 (해외진출 유망 국가별 프랜차이즈 연사 초청을 통한 현지 시장 정보 제공) · 프랜차이즈 해외진출 상시 자문 * 출장 불가시 온라인으로 전환 이용방법 · KOTRA 대표 홈페이지(www.kotra.or.kr) 참고 문의처 · 서비스소비재실 / 02-3460-7613, 7611 / hotcoff22@kotra.or.kr 연중 K-Lifestyle 뷰티, 생활/유아용품, 식품 등 유망 소비재에 특화된 수출 지원 사업입니다. B2B 수출상담, 인플루언서 연계 온·오프라인 마케팅, 전시 및 판촉 등 사업별 타겟 시 장과 품목에 맞추어 해외권역별로 차별화된 소비재 전문 행사입니다. 대상기업 · 국내 소비재 제조 및 유통 중소·중견기업 * 각사업별참가기업품목·분야가다르므로사업신청시세부사업개요참조요망 시행시기 · 미정(권역별 일정 상이, 사업공고 확인 요망) 지원내용 · B2B 수출상담, 인플루언서 연계 온·오프라인 마케팅, 전시 및 판촉 등 참가비 · 사업 특성별 상이, 개별 사업 공고시 확인 요망 * 항공 및 숙박 등 체재비는 원칙적으로 기업 부담 선정기준 · 외부 선정기관 및 사업 담당 무역관의 시장성 평가에 따라 선정 이용방법 · KOTRA 대표 홈페이지(www.kotra.or.kr) 참고 문의처 · 서비스소비재실 / 02-3460-7733 / junyoung@kotra.or.kr 해외권역별 소비재 전문 상담회 에듀테크 해외진출 지원사업 교육서비스 기업의 해외진출을 위해 수출상담회, 컨퍼런스, 사절단 등 연간 다양 한 해외마케팅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대상기업 · 기업 규모 무관 국내 사업자 등록증 소지 교육서비스(에듀테크 등) 기업 산업군 · 에듀테크(AR/VR, 로봇, 코딩, AI 등 기술 연계 교육서비스), 학원, 외국어 학습 등 지원내용 · 해외바이어 초청 비즈니스 상담회 및 화상상담회 (진출 희망지역 해외바이어 상담 주선) · 권역별 교육서비스시장 진출 세미나/컨퍼런스/웨비나 참가 등 참가비 · 서비스별 상이 이용방법 · KOTRA 대표 홈페이지(www.kotra.or.kr) 참고 문의처 · 서비스소비재실 / 02-3460-7615 / km1005@kotra.or.kr 연중 콘텐츠산업 해외마케팅 지원사업 애니메이션, 캐릭터, 게임, 웹툰 등 우수 콘텐츠 제작사의 해외 진출 확대를 위해 국내외 수출상담회 개최 및 사절단을 파견하여 수출 성약을 제고하고 해외기업 과의 네트워킹을 지원합니다. 대상기업 · 국내 사업자 등록증 소지 콘텐츠 분야(애니메이션, 캐릭터, 게임, 웹툰 등) 모든 기업 지원내용 · 제작투자 해외 파트너 발굴, 매칭을 통한 공동제작을 위한 수출상담회 개최 및 해외마케팅지원 등 * 2021년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온라인 행사로 진행하였음 참가비 · 사업별 상이 문의처 · 서비스소비재실 / 02-3460-7616 / jungle@kotra.or.kr

021 Part.1 수출지원 020 KOTRA Service Guide Book 1-2 비즈니스포럼 KOTRA는 우리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을 위해 컨퍼런스, 전시상담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K-Global@ 'K-Global@'은 해외 주요 ICT시장에 중소·중견기업 해외수출 확대를 지원하기 위 해 전시상담, 컨퍼런스, 기술교류, IR 등을 복합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대상기업 · ICT 중소·중견기업 시행시기 · 2022년 하반기 산업군 · 디지털 뉴딜(D.N.A. 등) 분야 혁신 융복합 분야(AI, IoT, 비대면 솔루션 등) ·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바일, 정보보호, 디바이스, IT서비스 분야 프로그램 · ICT포럼(정보제공), 전시상담회(수출), 쇼케이스(투자유치) 등 신청방법 · KOTRA 대표 홈페이지(www.kotra.or.kr) 참고 문의처 · ICT융복합팀 / 02-3460-7472 글로벌 모바일비전 2008년 최초 개최된 ‘GMV’는 ICT분야의 해외진출을 위한 B2B 전시상담회입 니다. 해외의 바이어, 투자사, 프로젝트 발주처와 비즈니스 상담을 주선합니다. GMV를 통해 우리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하고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 록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및 후속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대상기업 · ICT 중소·중견기업 시행시기 · 2022년 5월 산업군 · 모바일, 유무선통신, AI, IoT, AR/VR, 로봇, 정보보안 등 ICT솔루션 분야 · 스마트시티, 스마트팩토리, 스마트팜, 전자정부, 핀테크, 디지털 콘텐츠·서 비스 분야 주요 프로그램 · 전시상담회:해외바이어·투자사·발주처 초청, 비즈니스 상담회 운영 · 컨퍼런스&세미나:글로벌 시장 트렌드 공유 및 미래전략 제시 · 스타트업 피칭:스타트업 지원 기관과 협업하여, 해외 VC 및 AC 대상, 투자 유치를 위한 IR 진행 신청방법 · KOTRA 대표 홈페이지(www.kotra.or.kr) 참고 문의처 · ICT융복합팀 / 02-3460-7467, 7463 GMV 스마트팜 수출지원 스마트팜 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해외전시회 한국관 운영, 수출상담 회, 해외 수출사절단 파견 등의 사업을 진행합니다. 대상기업 · ICT 중소·중견기업 산업군 · 수직농장, 노지재배기술, 가축관리, 스마트농기계, 농축산물유통 등 스마트팜 구축에 적용되는 ICT 솔루션 지원내용 · 바이어 발굴, 투자유치, 해외 기술협력, 현지 합작법인 설립 등 · (수출상담회) 해외바이어 및 투자사 대상 온오프라인 수출상담회 운영 · (해외전시회) 국내외 주요 농업, 축산업, 스마트팜 관련 국제전시회 한국관 운영 · (수출사절단) 목표시장별 국내 유망 스마트팜 기업으로 구성된 수출사절 단 파견 · (스마트팜 디렉토리) 국내 스마트팜 기업 및 제품정보 소개자료 제작 및 배포 참가비 · 사업에 따라 참가비 분담 * VAT 포함 이용방법 · KOTRA 대표 홈페이지(www.kotra.or.kr) 참고 문의처 · ICT융복합팀 / 02-3460-7468 / smartfarm@kotra.or.kr 연중 국내 유망 스마트시티 솔루션 기업의 해외진출에 필요한 정보조사, 협력 네트워 크 구축, 수주지원 마케팅 등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대상기업 · ICT 중소·중견기업 산업군 · 교통·안전·환경·도시관리·디지털정부 등 스마트시티 구축에 적용되는 ICT 솔루션 지원내용 · (스마트시티 협력센터) 현지 프로젝트·발주처 발굴 및 네트워크 구축, 진출전략 설명회 및 보고서 발간, 상시 맞춤형 수주지원 등 * 스마트시티 협력센터 운영 (5개소) : 태국(방콕), 베트남(하노이),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인도네시아(자카르타), 터키(이스탄불) · (해외 로드쇼) 스마트시티 해외전시회 참가지원, 지역별 로드쇼 개최, 발주처 대상 기술·솔루션 IR 등 지원 · (기타 마케팅) 스마트시티 발주처 및 바이어와의 1:1 비즈니스 상담주선, 네트워크 지원, 기타 현지 진출전략 세미나 개최 등 참가비 · 사업별 상이 문의처 · ICT융복합팀 / 02-3460-7478, tx_smartcity@kotra.or.kr 스마트시티 해외진출지원 연중

023 022 KOTRA Service Guide Book Part.1 수출지원 1-3 해외비즈니스출장지원 해외비즈니스출장지원의 ‘해외세일즈출장’은 KOTRA 해외무역관을 통해 잠재 바이어(3~4개사)와의 상 담주선 등 개별 출장기업의 해외 세일즈 활동을 지원합니다. 선정기준 · KOTRA 홈페이지에서 사업 신청 후 해외무역관에서 지원가능 여부를 검토하여 고객 안내 이용방법 · KOTRA 대표 홈페이지(www.kotra.or.kr) 참고 참고사항 · 출장지원서비스 신청 대상 지역 : 83개국, 123개 무역관 * 출장지원 제외(여행금지국) : 바그다드, 트리폴리 무역관 문의처 · 해외진출상담센터 / 1600-7119 참가비 · 일반서비스 표준 수수료 : 50~70만원(VAT별도) · 프리미엄서비스 표준 수수료 : 100~140만원(VAT별도) 지역별, 바이어수 별 참가비 상이(상세 내역은 KOTRA 홈페이지 참고)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상호출자제한기업의 경우,, 수수료 2배 적용 바우처 이용가능 서비스(최종 수수료의 부가세 10% 제외 금액을 바우처로 사용 가능) 지원내용 서비스 유형 서비스 안내 일반 서비스 · 지원내역 : 상담주선(3~4개사) + 교신지원(2개월 · 상담방법 : 상담 스케줄에 따라 기업이 자체 진행 · 수수료 : 50~70만원(3~4개사)(VAT별도) · 대상기업 : 통역, 차량지원불요기업, 독자적으로상담가능기업 프리미엄 서비스 · 지원내역 : 상담주선(3~4개사) + 상담지원(통역 및 차량 지원) + 교신 지원(2개월) · 상담방법 : 2일간 무역관 직원이 상담지원 * 통역 : 일부 지역은 한국어 통역 불가(‘현지어-영어’, ‘현지어-불어’ 지원) * 차량 : 관할도시에서 편도 120km이상 방문 상담시 별도 차량 임차료 발생 (기업 부담) · 수수료 : 100~140만원(3~4개사)(VAT별도) · 대상기업 : 통역, 차량필요기업, 지사화사업관심기업 고객보유 거래선 상담주선 · 지원내역 : 고객 보유 바이어명단 및 명함 기재시 상담주선(1~2개사) · 상담방법 : 3개사 이상 일반서비스 진행 · 수수료 : 바이어 1개사당 10~15만원(지역별 차등/VAT 별도) · 대상기업 : 독자적으로이동및상담가능기업 * 일반/프리미엄 서비스 : 호텔예약, 공항출영송 등 기타 사항은 기업이 진행 2. 무역사절단 국내중소기업의해외진출을위해 KOTRA가지자체·유관기관등파견기관과협업하여세일즈단을구성하고 해외파견또는화상상담을통해현지바이어와수출상담기회를제공합니다. 지원내용 · 무역사절단 파견국별 시장 동향 조사 및 잠재 바이어 발굴 · 목표시장 잠재 바이어와 온·오프라인 상담회 개최 · 지사화 등 KOTRA 사업 연계를 통한 사후 지원 등 대상기업 · 해외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중소·중견기업 산업군(품목군) · 산업군 전체 (파견 사절단별 품목군 상이) 시행시기 · 사절단별 상이 참가비 · 무료 (개인 여행경비 등은 참가기업 부담) 선정기준 · KOTRA 해외무역관의 상담주선 가능성 평가와 파견기관의 자체 평가기준에 따른 심사 및 선정 문의처 · 수출기업화팀 / 02-3460-7327 / hwang@kotra.or.kr * 개별 사절단 관련 내용은 기업 소재지 지방지원단 또는 사절단별 주관부서에 문의 요망 이용방법 · KOTRA 홈페이지 「무역사절단 연간 파견 계획」을 참고하여 사업별 주관부서 또는 파견기관(시도지자체, 유관기관 등)에 신청 ▶ KOTRA 로그인(www.kotra.or.kr) ▶ 사업소개 ▶ 무역사절단 ▶ 무역사절단 외부협력사업 ▶ 세부사업보기 ▶ 「무역사절단 외부협력사업」 클릭, 첨부파일 참고 검색방법

025 Part.1 수출지원 024 KOTRA Service Guide Book 3. 전시회 3-1 국내·외전시회 KOTRA는 기업홍보와 더불어 시장 동향 파악, 정보 교류, 바이어 발굴, 수출 판로 개척의 장으로써 해외 마케팅의 주요 수단으로 활용되는 세계 유명 전시회에 한국관 지원 사업 추진, 국내 전시회 개최 등의 사 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SEOUL FOOD ‘SEOUL FOOD’는 1983년 최초 개최 이래 40년간 지속된 국내 최대 규모의 식품 산업 전문 비즈니스 전시회로서 국내 식품업계의 해외 수출을 지원하는 KOTRA 대 표전시회입니다. 전시회품목군은 식품 및 관련 기기 등으로구성되어 있습니다. 대상기업 · 국내 사업자 등록증을 소지한 식품 및 관련 기기분야 모든 기업 산업군 · 식품 및 식품관련 기기 분야 시행시기 · 2022.6.7.(화)~6.10.(금) / 일산 KINTEX(제1전시장) 지원내용 · 부스임차료 할인제도 운용 * 참가비 할인 : 조기신청 시/부스규모별/지속참가시/소상공인(4인미만사업장) 참가비 · 독립식 부스 : 275만원 / 조립식 부스 : 308만원 * VAT 포함 이용방법 · 서울식품전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신청 * 임차면적 소진 시 마감 문의처 · 전략전시팀 / 02-3460-7258, 7269 유관 홈페이지, QR코드 등(E-book 제작 시 활용 예정) www.seoulfood.or.kr 해외전시회 한국관단체 참가지원 KOTRA와 유관단체가 연간 100여회에 걸쳐 국제 유명 전시회 및 신흥 유망 전시 회에 공동으로 한국관을 구성하여 국내 수출업체의 전시회 참가를 도와드립니다. 대상기업 · 국내 사업자 등록증을 소지한 중소·중견기업 산업군 · 전 산업군 (해외전시회별 유망 산업) 지원내용 · 참가비 : 직접경비(부스 임차료, 전시디자인설치비)의 70% 국고지원 * 온·오프라인 70% 국고지원으로 동일 · 운송비: 1부스당 1CBM 한도 편도 해상운송비 100% 지원 연중 지원내용 · 행정서비스 : 한국관 주관 운송사, 여행사, 장치사 선정, 전시회장 출입증, 주최측 디렉토리 신청 등 · 해외마케팅 : 한국관 디렉토리 제작, 잠재 바이어 리스트, 현장 사무국 운영, 사후관리 참가비 · 전시회별 및 지역별 상이 (정확한 금액 홈페이지 참고) 선정기준 (심사를 통한 선정절차가 있는 서비스의 경우) · 수출실적, 기업경쟁력, 일자리창출, 전시적합성, 정책우대 가점에 따라 본 사, 무역관, 공동수행기관이 평가 이용방법 · 글로벌 전시포털사이트(www.gep.or.kr) 공고를 통한 신청 홈페이지 · www.gep.or.kr 문의처 · 해외전시팀 / 02-3460-7292 해외전시회 개별참가지원 해외에서 개최되는 전문전시회에 개별(독자)적으로 참가 시, KOTRA가 부스임차 비, 장치비, 편도 전시물품 운송비, 주최사 제공 마케팅비를 지원해 드립니다. 대상기업 · 국내 사업자 등록증을 소지한 중소·중견기업으로 해외전시회에 독자 (개별)적으로 참가하는 기업 * 민간 협·단체를 통해 전시회에 신청 및 참가 시, 필수 구비서류 제출 경우에 한해 지원 * 중견기업은 총 모집규모의 5% 범위 내로 선발 산업군 · 전 산업군(기업에 맞는 품목별 해외전시회) 시행시기 · 연 1회 모집 후 선정기업 대상 연중 시행 지원내용 · 선정 기업당 연간 최대 1회, 500만원 한도 내 실비지원(사후정산) * 부스임차비, 장치/집기대여비, 편도 전시품 운송비(1CBM/9sqm, 수출통관 기준), 주최사 제공 마케팅비 세부 내용은 글로벌 전시 플랫폼(www.gep.or.kr) 내 “지원안내” 참고 참가비 · 무료 선정기준 (심사를 통한 선정절차가 있는 서비스의 경우) · 수출실적, 진출지역 유망성, 기업경쟁력, 전시참가 기대성과, 수혜실적, 정책호응도, 정부정책 우대에 따른 기타 가산점 항목 등 이용방법 · 글로벌 전시 플랫폼(www.gep.or.kr) 내 모집공고를 통해 온라인 신청 홈페이지 · www.gep.or.kr 문의처 · 해외전시팀 / 02-3460-7256 연중

027 Part.1 수출지원 026 KOTRA Service Guide Book 3-2 한류활용해외마케팅지원 글로벌 한류 확산에 따른 파급 효과를 유망 소비재 및 서비스 산업과 연계, 한류박람회 등 한류 활용 마케 팅을 추진하여 국내 유망 중소·중견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확대 및 브랜드 제고를 선도적으로 지원합니다. 선정기준 (심사를 통한 선정절차가 있는 서비스의 경우) · 추후 게재(사업 공고시 참고) 이용방법 · KOTRA 대표 홈페이지(www.kotra.or.kr) 참고 문의처 · 서비스소비재실 / 02-3460-3347 / hansol.kim@kotra.or.kr · 서비스소비재실 / 02-3460-7747 / wltn0779@kotra.or.kr 대상기업 · 한류 기반 소비재 및 서비스 기업 시행시기 · 연중 1~2회 (한류박람회) 참가비 · 사업별 상이 · 5대 소비재 : 화장품, 식품, 패션의류, 생활·유아용품, 의약품 · 9대 서비스 : 콘텐츠, 의료, 관광, 교육, 금융, SW, 물류, 유통, 지재권 산업군(품목군) · 한류박람회(Korea Brand & Entertainment Expo) : 세계적인 한류열풍을 활용, 소비 재 및 서비스 수출 활성화 지원 · 글로벌 미디어커머스 : 한류콘텐츠 연계 소비재 간접노출(PPL) 연계 및 해외유통망 입점·판촉 지원 지원내용 문의처 · 세계엑스포팀 / 02-3460-3395 / suekim@kotra.or.kr 시행시기 · 등록 박람회는 0, 5로 끝나는 연도에 개최하며 인정 박람회는 등록 박람회 사이에 개최합니다. · 유관 홈페이지, QR코드 등 (E-book 제작 시 활용 예정) https://koreapavilion2020virtualtour.kr/ (버츄얼 한국관) https://koreapavilion2020.kr/fairDash.do (한국관 공식 홈페이지) https://www.instagram.com/koreapavilion2020/ (한국관 인스타그램 계정) 홈페이지 2021.10.1.~2022.3.31. 개최되는 2020 두바이 엑스포(등록)에서 한국은 ‘스마트 코리아, 한국이 선 사하는 무한한 세상’이라는 주제로 한국관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실과 가상의 융합으로 생성된 미 래도시에서의 모빌리티를 AR로 구현하고, 파사드의 스핀 큐브를 통해 미래를 진취적으로 변화시키 려는 한국의 역동적인 모습을 보여줍니다. 미래의 한국을 2020 두바이엑스포 현장 혹은 https:// koreapavilion2020virtualtour.kr/에서 관람해 볼 수 있습니다. 다음 등록 박람회는 2025.4.13.~10.13 일본 오사카에서 개최되며, 부산에서는 2030 등록 박람회를 유치하기 위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3-4 세계엑스포개최 박람회(Expo)는 인류 문명의 발전을 돌아보고, 현재 인류가 직면한 과제 해결 및 미래의 발전 전망을 보 여주는 세계박람회기구(BIE)가 공인한 행사입니다. 인류의 산업, 과학기술 발전성과를 소개하고 개최국 의 역량을 과시하는 장으로 경제·문화 올림픽이라고도 불립니다. KOTRA에서는 엑스포 한국관 운영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선정기준 · 사업 공고시 참고 이용방법 · 글로벌전시포털사이트(www.gep.or.kr) 또는 KOTRA 대표 홈페이지(www.kotra.or.kr)를 통한 온라인 신청 및 접수 문의처 · 전략전시팀 / 02-3460-7272, 7263 / onlinekoreaexpo@kotra.or.kr 참가비 · 사업별 상이 3-3 한국우수상품전 전략지역에서 개최하는 KOTRA 단독 해외전시회로 개최지 및 인근지역 바이어 초청 1:1 전시 상담회 등 해외시장 판로개척을 위한 다양한 수출 마케팅으로 국내 기업의 해외시장 개척을 지원합니다. 대상기업 · 국내 사업자등록증을 소지하고 있는 중소중견기업 · 연중 추진 / 온오프라인 시행시기 · 전략시장 진출을 위한 온·오프라인 B2B 전시 상담회 기반 수출마케팅 지원 * (오프라인 상품전) 기업별 기본 부스 및 편도 운송비 등(세부내용 사업 공고시 참고) 지원내용

029 028 KOTRA Service Guide Book Part.1 수출지원 4. 기간제 맞춤형 지원 4-1 지사화사업 해외에 지사를 설치할 여력이 부족한 중소·중견기업의 현지 지사 역할을 대행하여 수출 및 해외 진출을 지원합니다. 대상기업 · 국내 사업자등록번호를 보유하고 있는 『중소기업 기본법』제2조 및 『중견기업 성장촉 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제2조에 따른 중소·중견기업 신청방법 · 수출바우처 홈페이지 (www.exportvoucher.com/jisahwa)를 통해 * 수출바우처 홈페이지 > 해외지사화사업 > 온라인 신청 지원내용 단계 주요 지원내용 기간 기업부담금 발전 마케팅 및 수출지원 수출성약 지원, 전시·상담회 참가 지 원, 물류통관 자문, 출장지원, 기존 거 래선 관리, 현지 유통망 입점, 인허가 취득지원, 브랜드 홍보, 프로젝트 참가, IP등록, 현지법인 설립 지원 6개월 220만원 1년 300~ 400만원 (지역별 차등) · 지원품목 : 신청 1건당 1개 품목(HS Code 6단위) · 기업 부담금은 신청 1건에 해당하는 금액이며, 수출바우처로 기업부담금 납부 불가 진행절차 신청 차수별 신청 (연간 6차) 선정 선정위원회 개최 참가비 납무 최종 선정시 참가비 납부 서비스 개시 협약내용에 따른 마케팅 활동 전개 지사화사업 발전단계 지역별 참가비 지역 국가명 무역관명 참가비 중국지역 중국 광저우 350 난징 다롄 베이징 상하이 샤먼 선양 선전(심천) 시안 우한 정저우 창사 창춘(장춘) 청두(성도) 충칭 칭다오(청도) 톈진(천진) 하얼빈 항저우 홍콩 타이완(대만) 타이베이 북미주 지역 미국 뉴욕 400 시카고 로스앤젤레스 달라스 350 워싱턴 디트로이트 실리콘밸리 캐나다 토론토 밴쿠버 CIS 지역 러시아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블라디보스톡 300 노보시비르스크 카자흐스탄 알마티 우크라이나 키예프 아제르바이잔 바쿠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벨라루스 민스크 몽골 울란바토르 문의처 · 유망기업팀 / 02-3460-7439,7441,7445 단위 : 만원(VAT포함) 2022년도 세부 일정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1. 11(화) 1차신청마감 1. 20(목) 선정결과발표및 참가비납부 2. 1(화) 1차서비스개시 2. 9(수) 2차신청마감 2. 18(금) 선정결과 발표및참가비납부 3. 1(화) 2차서비스개시 4. 12(화) 3차신청마감 4. 21(목) 선정결과발표및 참가비납부 5. 1(일) 3차서비스개시 6. 13(월) 4차신청마감 6. 22(수) 선정결과발표및 참가비납부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7. 1(금) 4차서비스개시 8. 11(목) 5차신청마감 8. 23(화) 선정결과발표및 참가비납부 9. 1(목) 5차서비스개시 10. 12(수) 6차신청마감 10. 21(금) 선정결과발표및 참가비납부 11. 1(화) 6차서비스개시 * 세부 일정은 사업추진 여건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신청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 차수별 납부 기간은 선정발표일로부터 7일(업무일 기준) 이내

031 030 KOTRA Service Guide Book Part.1 수출지원 지역 국가명 무역관명 참가비 중동 지역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350 이스라엘 텔아비브 이라크 바그다드 터키 이스탄불 카타르 도하 이집트 카이로 300 요르단 암만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쿠웨이트 쿠웨이트 알제리 알제 모로코 카사블랑카 오만 무스카트 아프리카 지역 남아공 요하네스버그 300 모잠비크 마푸투 케냐 나이로비 수단 카르툼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 탄자니아 다레살람 나이지리아 라고스 가나 아크라 코트디부아르 아비장 일본 지역 일본 나고야 400 도쿄 오사카 후쿠오카 유럽 지역 영국 런던 400 독일 프랑크푸르트 뮌헨 함부르크 프랑스 파리 벨기에 브뤼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350 이탈리아 밀라노 스페인 마드리드 유럽 지역 스위스 취리히 350 스웨덴 스톡홀름 덴마크 코펜하겐 오스트리아 빈 핀란드 헬싱키 그리스 아테네 폴란드 바르샤바 300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지역 국가명 무역관명 참가비 헝가리 부다페스트 300 유럽 지역 체코 프라하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불가리아 소피아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 동남아 대양주 지역 호주 시드니 400 멜버른 베트남 하노이 350 호치민 다낭 필리핀 마닐라 싱가포르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300 수라바야 태국(타이) 방콕 캄보디아 프놈펜 라오스 비엔티안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미얀마 양곤 뉴질랜드 오클랜드 중남미 지역 브라질 상파울루 400 칠레 산티아고 350 멕시코 멕시코시티 과테말라 과테말라 300 쿠바 아바나 파나마 파나마 콜롬비아 보고타 페루 리마 에콰도르 키토 도미니카공화국 산토도밍고 파라과이 아순시온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서남아 지역 인도 뉴델리 350 뭄바이 암다바드 300 콜카타 벵갈루루 첸나이 방글라데시 다카 스리랑카 콜롬보 파키스탄 카라치

033 032 KOTRA Service Guide Book Part.1 수출지원 4-2 해외공동물류센터사업 해외 현지에 독자적으로 물류센터를 구축하기 어려운 중소·중견기업이 현지 KOTRA 협력물류회사의 창 고를 공동으로 이용하는 사업으로 보관·포장·배송·통관·수입대행·반품·물류컨설팅 등 맞춤형 물류서비스 제공을 통해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합니다. 4-3 산업별맞춤형지원 소재·부품·장비, 환경·에너지·건설/플랜트, 소비재, 의료/바이오, 서비스, ICT 등 다양한 산업별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해드립니다. 선정기준 · 수출실적, 사업 활용 여부, 정책우대, 제출서류 등 종합 검토 이용방법 ① KOTRA 홈페이지(www.kotra.or.kr)에서 신청 (사업신청 > 추천 키워드 ‘#물류/통관’ > 해외공동물류센터사업) ② 지원가능 여부 검토(해외무역관) ③ 참가업체 선정(본사) ④ 선정통보 및 참가비 납부 ⑤ 무역관과 협약서 체결 ⑥ 사업지원개시 문의처 · 유망기업팀 / 02-3460-7445, 7426, 7428 대상기업 · 신청 지역에 물류센터가 필요한 국내에서 수출 중(예정 포함)인 중소·중견기업 (원·부자재 소싱 수입 포함) · 해외 현지창고 보관, 입출고, 포장, 배송, 반품, 통관, 수입대행 등 풀필먼트 및 수출마케팅 서비스지원 · 물류창고내보관필수(수입대행·배송·수출마케팅등은서비스가능시필요에따라이용) · 1개 사당 최대 5개 지역까지 신청 가능 · 수출기업의 물류비 절감방안과 현지 최적의 물류수단 확보 등 물류컨설팅 제공 지원내용 시행시기 · 모집기간 : 매년 12월 중 국고지원기업 모집(별도 공고, 선정평가) * 마감 시 전액 자부담 서비스는 9월 30일까지 연중 신청 가능 · 지원기간 : 협약시작일~동일년도 11월 30일(무역관 소재 전지역 신청 가능) * 이란, 리비아, 시리아, 쿠바, 쿠웨이트 등 현지 사정에 따른 일부 서비스 불가 지역 제외 참가비 · 매칭펀드 방식으로 지원(국고지원 비율: 중소기업 70%, 중견기업 50%로 차등) 중소기업 중견기업 한도 총액(A+B) 참가비(A) 30만원 ~ 600만원 국고지원(B) 70만원 ~ 1,400만원 참가비(A) 50만원 ~ 1,000만원 국고지원(B) 50만원 ~ 1,000만원 최소 100만원 ~ 최대 2,000만원 글로벌 파트너링 (GP) 사업 글로벌 기업의 비즈니스 협력 수요를 발굴하여 국내 소재·부품·장비 분야 중소·중 견기업이 글로벌 기업의 밸류체인(GVC)에 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수요 맞춤 형 서비스입니다. 산업군 · 자동차, 항공, 기계·중장비, 조선기자재, 전력기자재, IT·전자전기, 의료바 이오(백신) 등 지원내용 · 산업별 Mapping 자료를 활용한 마케팅 활동 지원 · 국내외 권역별·산업별 수출상담회 개최 * 해외 : GP Europe, GP USA, GP Japan, GP China 등 * 국내 : GP Korea, 자동차부품 GP상담회, 조선기자재 GP상담회 등 · 글로벌 기업과의 핀포인트 상담 지원 : 공장방문, 심층상담 등(연중 수시) 이용방법 · 일정에 따라 별도 공고 · 신청서 접수 바이어 검토 상담 매칭 문의처 · 소재부품장비팀 / 02-3460-7648 · 바이오의료팀 / 02-3460-7629 유관 홈페이지, QR코드 등(E-book 제작 시 활용 예정) KOTRA 대표 홈페이지(www.kotra.or.kr) 참고 연중 그린글로벌 파트너링 (GP) 글로벌 기업의 비즈니스 협력수요를 발굴하여 그린뉴딜 혁신품목(수소, 이차전 지, 신재생에너지, 스마트그리드 등)의 중소·중견기업이 글로벌 기업의 밸류체인 (GVC)에 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수요 맞춤형 서비스입니다. 산업군 · 수소(그린프로젝트, 모빌리티), 이차전지(ESS, 모빌리티, 전기차), 신재생에너지(태양광, 해상풍력, 바이오에너지, 스마트그리드 등), 환경산업(수처리, 폐기물 등) 등 지원내용 · 글로벌 기업 소싱 수요 기반 1:1 상담회 개최 · 산업동향 및 유망 프로젝트 소개 설명회 개최 · 환경산업 시장개척단 연중 수시 진행 이용방법 · 사업별 온라인 신청 접수(별도 링크 추후 안내) 문의처 · 수소사업 / 그린산업팀 / 02-3460-7485 / moouuk@kotra.or.kr · 이차전지 / 그린산업팀 / 02-3460-7487 / sjunoh@kotra.or.kr · 신재생에너지 / 그린산업팀 / 02-3460-7489 / ca678dy@kotra.or.kr · 환경산업 / 그린산업팀 / 02-3460-7488 / kspark@kotra.or.kr

035 034 KOTRA Service Guide Book Part.1 수출지원 ICT 글로벌 멘토링센터 서비스 BM 해외진출 사업 바이오의료 맞춤형 지원사업 ICT 분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IT서비스 기업을 지원하는 전문 상담센터로 온· 오프라인 상시이용이 가능합니다. ICT 중소기업이 해외진출 시 직면하는 단계별 문 제를해결하고진출국현지에서의애로사항을해소할수있도록지원해드립니다. IoT, ICT, 5G의 발전으로 일상생활의 편리성이 가속화되면서 융복합 서비스 업종 이 각광 받고 있어, 해외진출이 유망한 서비스를 발굴하여 서비스 해외진출 활성 화를 지원합니다. 국내 바이오·의료 분야에서 신시장 개척을 희망하는 중소·중견기업 대상 맞춤형 해외 진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며, 현지 시장조사, 진출전략 수립, 현지 마케팅 활동 수행과 같이 KOTRA 고유 역량을 활용하여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사업을 우 선 지원합니다. 산업군 · ICT 융복합분야 (D.N.A., 초연결신산업, 스마트 SOC*, 디지털정부 등) * 스마트시티, 스마트팜, 스마트팩토리, 스마트스쿨, 스마트의료 등 지원내용 · 해외 ICT 시장진출 애로해결 및 컨설팅 해외진출 사전준비 국가정보 및 시장현황 기업 및 제품 현지화 현지거점 설립 해외마케팅 지원사업 안내 협상 및 계약 기타 해외진출 관련 사항 이용방법 · ICT글로벌멘토링센터 전화/이메일 상담 · KOTRA 대표 홈페이지(www.kotra.or.kr) 참고 · KOTRA 본사 ICT 글로벌멘토링센터 방문상담 (사전전화/이메일로 예약) · 수출 제품 및 서비스 확인 등 기업 현장 방문 요청시, 출장 상담 가능 문의처 · ICT융복합팀 / 02-3460-7754 / danikong@kotra.or.kr(공정훈 전문위원) 대상기업 · 융복합서비스 해외진출을 수행 중인 국내기업(중소·중견) · 서비스 해외진출을 희망하는 국내기업 · 업종 : 산업재산권, 서비스플렛폼, 콘텐츠, 에듀테크, 융복합 서비스 * 단순 제조업의 유통, 판매업종 제외 시행시기 · 2022년 3월 ~ 12월 지원내용 · 컨설팅(자금연계, 기업인증, 지식재산권, 마케팅, 판로개척, 자문컨설팅, M&A 등) · 컨설팅전문기관을선정하여BM취약분야를진단하여자문및해결방안제시 · 서비스 거점 지원(해외 거점 전담직원을 통한 현지 시장조사, 투자가 매칭 등 현지 애로사항 해결) · KOTRA 해외 서비스 거점 무역관을 활용하여 전담직원을 배치, 현지 맞춤 형 지원 체계 마련 · 해외마케팅 지원(해외 판로개척, 인허가 지원, 상권분석, 법인설립, 홍보 지 원을 위한 실비 지원 등) · 국고 펀딩으로 해외마케팅 비용 지원(기업분담금 약30%) 참가비 · 1,000만원~1,500만원 * VAT 포함 이용방법 · KOTRA 대표 홈페이지(www.kotra.or.kr) 참고 문의처 · 서비스소비재실 / 02-3460-7611 / sseonghj@kotra.or.kr 서비스 해외거점 지원사업 KOTRA가 채용한 서비스 전담직원을 통해 현지 시장조사, 파트너 발굴, 법인설립, 전시회 참여, 비즈니스 미팅 등을 1년간 지원받는 서비스입니다. 대상기업 · 교육(이러닝, 학원, 교재, 교구, 플랫폼), 콘텐츠(애니메이션, 캐릭터, 방송미 디어, 웹툰), 프랜차이즈(외식업, 이미용, 학원, e스포츠), 스마트물류, 금융 (핀테크) 등 성장가능성이 높은 서비스 분야 중소·중견기업 시행시기 · 2022년 4월 ~ 2023년 3월 지원내용 · 기업별 서비스 거점 무역관 1:1 매칭지원, 파트너 발굴, 현장(출장)지원, 시 장조사, 기업별 요청사항 처리 등 · 거점무역관 : LA, 뉴욕, 도쿄, 오사카, 하노이, 호치민, 방콕, 싱가포르, 자카 르타,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 참가비 · 250만원 ~ 300만원 (거점별상이) * VAT 포함, 수출바우처로 이용 가능 이용방법 · KOTRA 대표 홈페이지(www.kotra.or.kr) 참고 문의처 · 서비스소비재실 / 02-3460-7612 / seolyoon@kotra.or.kr 산업군 · 의료기기, 의약품, 병원 등 바이오·의료 전 분야 시행시기 · 2022년 1월 1일 ~ 12월 30일(잠정) 지원내용 · (맞춤형마케팅서비스) 해외로드쇼, 세미나개최등수요기반맞춤형사업지원 · (KOTRA 유료서비스) 해외시장조사, 비즈니스출장지원등유료사업참가지원 · (사업참가우대) 바이오의료팀 주관 사업 참가 시 * 전시 참가, 광고 실행 등 단순 사업비 지원은 지양 참가비 · 최소 60만원최대 300만원(총사업비의 30%가기업 참가비, VAT 별도) * 총 사업비 200만원~1,000만원 지원(국고와 기업참가비 7:3 비율) 선정기준 · 신청업체 심사(외부 전문기관 전문가, KOTRA, 해외 무역관) 후 개별 통보 * 사업 참가는 연간 1회로 제한 이용방법 · 수시 신청 접수 · 신청 시 제출 필요 서류 : 참가신청서, 해외 마케팅 로드맵, 사업자등록증, 기업 소개자료, 해외마케팅 희망 제품 국/영문 카탈로그 각 1부 이용방법 · 바이오의료팀 / 02-3460-7623 / rana@kotra.or.kr 연중

037 Part.1 수출지원 036 KOTRA Service Guide Book 5. 수출바우처 수출역량을 키우고픈 기업들이 자율적으로 수출지원서비스를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보조금을 바우 처 형태로 지원하는 해외진출 마케팅 지원사업입니다. 사업 운영체계 바우처의 구성 · 선발과정을 거쳐 선정된 수출기업에 보조금을 바우처로 제공합니다. 기업이 일정액의 자비를 부담하면, 그에 상응하는 국고보조금을 정부에서 지급하고, 그 총액을 쿠폰 형 태의 수출바우처로 지급하고 있습니다. 수출바우처를 받은 기업은 수출지원기반활용 사업 포털(www.exportvoucher.com)에서 수출업무에 필요한 서비스와 그 수행기관 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구매하고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바우처 발급 참여기업 a 참여기업 b 참여기업 c 참여기업 d 세부사업별 운영 운영기관 A 운영기관 B 운영기관 C 운영기관 D 운영기관 E 서비스 수행 수행기관 A 수행기관 B 수행기관 C 수행기관 D 수행기관 E 대상기업 소관부처 운영기관 사업명 지원대상 바우처 발급 한도 국고 보조율 산업통상 자원부 KOTRA 소재·부품·장비 선도기업육성 · 소재.부품.장비분야, 국내중소.중견기업 ① [확대] 최근 3개년중 1개년 수출액 10만불이상 100만불미만 ② [발전] ‘18~’20년평균수출액수출액 100만 불이상 ① 5,000만원 (최대 1억원) ② 6,000만원 (최대 1억원) 중소 (70%) 중견 (50%) 소비재 선도기업육성 · 5대소비재분야유망중소·중견기업 - 최근 3개년평균매출액 100억원이상이면서 최근 3개년평균수출액 50만불이상 5,500만원 서비스 선도기업육성 · 서비스분야유망중소·중견기업 - 최근 3개년평균매출액 1조원이하 5,000만원 그린선도기업 육성사업 · 그린분야유망중소·중견기업 ① [확대] 최근 3개년평균매출액 5억원또는 평균수출액 5만불이상 ② [발전] 최근 3개년평균수출액 10만불이상 ① 3,000만원, 5,000만원(택1) ② 6,000만원, 1억원(택1) 중견기업 글로벌지원 · (Jumping) 후보.예비중견기업 · (중견글로벌) 월드클래스기업.중견기업 · (Post) 중견글로벌졸업기업 · (내수) 중견기업, 중견후보기업, 예비중견기업 중매출액대비수출비중이 10%미만이거나 수출액 1,000만달러미만 1억원 ~ 2억원 30~70% 소관부처 운영기관 사업명 지원대상 바우처 발급 한도 국고 보조율 경기도 KOTRA 경기지원단 경기도글로벌 히트상품 창출기업수출지원 · 본사또는공장의소재지가경기도인직전년도 직·간접수출액‘2000만불미만’인기업(분야무관) 2,357만원 70% 광주 광역시 KOTRA 광주전남 지원단 광주광역시 기업맞춤형수출 성공패키지 · 본사또는공장소재지가광주광역시인직전년 도수출액 '2,000만불미만' 중소기업 1,820만원 70% 충청북도 KOTRA 충북지원단 충북수출상품 창출기업 바우처지원사업 · 충북소재유망중소.중견기업 최대 3,000만원 70~85% 충북해외농식품 특화수출바우처 지원사업 · 충북소재농식품수출기업 최대 3,250만원 * 사업 진행에 따라 사업명 및 지원대상이 변경될 수 있음 KOTRA (관리기관) 중진공 (관리기관) 산업부 증기부 수출바우처 이용 절차 1단계 사업신청 및 선정 2단계 납부 및 발급 3단계 서비스 선택 4단계 수출지원 5단계 바우처 정산 수출바우처 서비스 메뉴 · 참여기업은 바우처를 이용하여 메뉴판에서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현재 메뉴판에는 총 13개 분야에 약 7,000여개의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습니다. 바우처로 구매 가능한 13개 서비스 분야 브랜드개발/관리 107 역량강화 교육 103 호보/광고 731 서류대행/ 현지등록/환보험 181 전시회/행사/ 해외영업지원 458 통번역 212 조사/일반 컨설팅 527 디자인개발 1,770 법무·세무·회계 컨설팅 129 홍보동영상 632

039 038 KOTRA Service Guide Book Part.1 수출지원 대상기업 · 소재·부품·장비 업종의 중소·중견기업 * 소재·부품 : 상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원재료 또는 중간 생산물 * 장비 : 소재·부품을 생산하거나 소재·부품을 사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장치 또는 설비 산업군 · 소재·부품·장비 분야 * 소재·부품·장비의 업종 구분은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강화를 위한 특별 조치법」 시행령 제2조 참조 지원내용 · 홍보·광고, 온·오프라인 전시회, 통번역, 해외규격인증 등 13개 분야 수출 지원서비스 이용 · 전담 전문위원 배정, 분야별 맞춤형 컨설팅 제공 · 진출전략 수립 및 타겟 국가 선정 지원 · 디지털 현장실사 등 글로벌 밸류체인(GVC) 재편대응 신규 서비스 지원 참가비 · (확대) 바우처 총액 : 5,000만원(최대 1억원) 기업 분담금 : 중소기업 30%(1,500만원), 중견기업 50%(2,500만원) · (발전) 바우처 총액 : 6,000만원(최대 1억원) 기업 분담금 : 중소기업 30%(1,800만원), 중견기업 50%(3,000만원) * VAT 미포함 선정기준 · 해외진출 역량, 수출바우처 이용계획 등을 종합평가 · 1차 평가(계량) 서류심사 및 2차 평가(비계량) 문의처 · 수출바우처팀 / 1533-4323 소재·부품· 장비선도기업 육성사업 소재·부품·장비 기업의 글로벌 역량 제고를 통해 해외 파트너쉽 발굴, 글로벌 공급 망 확대 및 발전을 지원합니다. 연중 서비스 선도기업 육성사업 국내 서비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해외진출을 확대하기 위하여, KOTRA가 서비스 분야 중소중견기업의 해외진출을 맞춤형으로 지원합니다. 대상기업 · 서비스분야 중소·중견기업 00개사 (콘텐츠, 에듀테크, 프랜차이즈, 기타서비스) * 직전년도 매출 1조원 이상및제조업, 단순 유통, 무역상사는대상기업에서 제외 지원 내용 · 서비스기업의 진출 타겟지역 수출확대를 위한 사업계획을 기반으로, 현지 KOTRA 서비스거점무역관의 밀착지원과 특허·지재권, 홍보·광고, 전시회, 법무컨설팅, 디자인개발, 해외규격인증 등 바우처 메뉴판의 수출지원 서비 스를 동시에 지원 * 바우처 발행한도 내에서 기업이 원하는 해외마케팅을 자유롭게 추진 참가비 * VAT 미포함 · 기업 분담금 : 중소기업 30%, 중견기업 50% 문의처 · 수출바우처팀 / 1533-4323 연중 5-1 산업별선도기업바우처 산업별로(소비재,소부장,서비스 등) 수출 희망 기업을 선정하여 여러 해외마케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 도록 바우처를 제공하는 서비스 입니다. (유관 홈페이지 : www.exportvoucher.com) 소비재 선도기업 육성사업 소비재 제조 선도기업의 해외시장 개척 및 판로 확대를 위해 맞춤형 지원을 제공 하고 있습니다. 대상기업 · 5대 소비재 제조 기업 (단순 무역상사 제외) 산업군 · 화장품, 식품, 패션의류, 생활·유아용품, 의약품 시행시기 · 참여기업 모집 : 전년 12월 경 · 사업 수행 : 당해년 2월 ~ 차년도 1월 (1년 간) 지원내용 · 참여기업. KOTRA 공동으로 해외 유망시장을 분석하고 목표시장 및 마케팅 전략 수립 · 로드맵 기반, 메뉴판 등록된 수행기관을 통해 맞춤형 마케팅* 지원 * 시장조사, 거래선 발굴, 전시회 개별참가, 해외 광고/홍보, 한류마케팅, 온오프라인 판촉행사, 디자인 개발, 인허가 등록 등 참가비 * VAT 미포함 · 기업 분담금 : 중소기업 30%, 중견기업 50% 선정기준 · 1차 : 계량평가 / 2차 : 외부 전문가 선정위원회 심사평가 후 선정 문의처 · 수출바우처팀 / 1533-4323 홈페이지 · 유관 홈페이지, QR코드 등(E-book 제작 시 활용 예정) 수출지원기반활용사업 홈페이지 : www.exportvoucher.com 혹은 www.수출바우처.com · 물류전용 수출바우처 홈페이지 : www.exportvoucher.com/shipping 문의처 · 수출바우처팀 / 1533-4323 / voucher@kotra.or.kr 바우처로 구매 가능한 13개 서비스 분야 해외규격인증 522 특허/지재권/시험 1,170 산업부/중기부 국제운송 140

RkJQdWJsaXNoZXIy MTMyNzcx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