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프로그램 우수사례집 제작: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 책자 기획


“청소년 문화예술활동 우수사례집 제작으로 담은 8년의 감동”


기관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 중에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도 있어요.
최근 제작한 우수사례집이 그러한데요,
바로 ‘교복 입은 예술가’를 지향하는 협력종합예술활동이에요.

해당 프로그램은 예술 전문가들이 직접 학교로 찾아가서
청소년들에게 문화 예술 교육을 제공하는 활동으로
참여 학생들은 예술적 감수성과 창의력뿐만 아니라 협동심까지 배울 수 있었다고 해요.

그렇다면 다양한 이야기로 구성된 이번 우수사례집은
어떤 과정을 거쳐서 제작되었는지 한번 알아보아요.

협력종합예술활동 우수사례집 제작 과정

  1. 제작 취지를 고려한 기획
  2. 생동감 넘치는 인터뷰
  3. 효과적인 디자인은?
  4. 인쇄 및 발간

제작 취지를 고려한 기획


위드톡톡) 우수사례집1

본격적인 작업에 앞서 우선 담당자들과 회의를 진행했어요.
이번 우수사례집 제작 목적은 2017년부터 2024년까지 이어져 온
활동의 교육적 의미와 성과를 담아내는 것이었어요. 

그래서 실제 활동 참여자들 인터뷰 위주로 구성하는 것으로 결정됐는데요,
그렇게 15명을 선정한 뒤 한 사람당 3~4페이지씩 할애해 주었습니다.

그 후 인터뷰 내용을 크게 두 가지 테마로 나누었어요.
전자가 참여 강사 및 학생들의 이야기였다면
나머지 하나는 활동 자체를 통해 얻을 수 있었던 경험이나 의의 위주로 구성했답니다.

생동감 넘치는 인터뷰


사진3

인터뷰가 이번 우수사례집의 핵심 콘텐츠인 만큼
대상자들과 일정을 조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했어요.
불필요한 혼선을 줄이기 위해 사전에 서면 질문지를 전달한 뒤
3일에 걸쳐 인터뷰를 진행해 주었답니다.

또 문화 예술 활동이라는 프로그램 특성을 고려하여
사진 촬영 장소와 구도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지요.

그렇게 인터뷰 내용들을 모두 취합해 보니 그 양이 어마어마했는데요,
마음 같아서는 모두 싣고 싶었지만 어쩔 수 없이 원고 일부를 덜어내는 작업을 진행했어요.

전체적으로 질문과 답변의 길이를 압축하고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내용이라면 과감하게 삭제하는 과정을 거쳤습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단락 간 여백을 확보하여 텍스트가 눈에 잘 들어올 수 있도록 조절해 주었어요.

효과적인 디자인은?


사진1

이렇게 완성된 원고를 토대로 디자인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이때 담당 선생님께서 한 가지 요구하셨는데요.

우수사례집이 전체적으로 심플하면서도
표지에는 상징적인 요소가 있으면 좋겠다는 것이었습니다.

이에 불완전한 원형 오브제를 표지 가운데에 배치함으로써
학생들이 결과물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담아 보았어요.

내지에서는 일러스트를 최대한 배제하는 대신
사진 위치와 글자 폰트만으로 가독성을 높였어요.

타이틀은 본문과 명확히 구분해 주고, 강조가 필요한 내용은 글씨 색상을 달리 했답니다.
또한 분량을 일부 압축해서 단락 간 여백을 조정해 주었어요.

인쇄 및 발간


사진2

표지와 내지 용지는 다르게 했어요.
표지는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기 위해 랑데부 240g을 썼습니다.
그리고 상징적인 이미지 요소가 더욱 돋보일 수 있도록 에폭시 후가공을 적용해 주었어요.

내지는 스노우 120g으로 골랐는데요,
왜냐하면 스노우지는 발색이 훌륭하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이번 우수사례집 제작처럼 사진이나 텍스트가 선명하게 보여야 하는 경우에 적합해요.

총 90 페이지였기에 제본은 무선 제본 방식으로 해 주었고
마지막으로 책등에 제목을 넣어주는 것으로
이번 협력종합예술활동 우수사례집 제작 과정을 모두 끝마칠 수 있었어요.

Director. 윤진 Designer. 서영

이런 분들에게 추천

감성적인 디자인이 필요해요.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는 우수사례집이 필요해요.

가성비가 좋은 인쇄물을 원해요.

원고 검수가 가능한 업체를 원해요.

우수사례집 제작 전에

원고는 한글, 워드 등 순서대로 정리된 원고를 준비해주세요

원하는 디자인 컨셉이 있다면 꼭 레퍼런스를 준비해주세요

사진 자료가 있을 경우 고해상도의 이미지로 준비해주세요

원하시는 제작 일정이 있다면 사전에 알려주세요

배너